문학가's Room/보르헤스

[독서일지] 칼의 형상

Raye.Kim 2025. 3. 18. 00:15

민음사 「보르헤스 전집2 - 픽션들 中」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1.     내용
 
나(보르헤스)는 어느 날 예고치 않은 강의 범람으로 문제의 ‘영국인’ 집에서 하룻밤을 머물게 된다. 비밀이 많아 보이는 그 ‘영국인’은 얼굴에 활 모양의 칼에 배인 흉터를 지니고 있는데, 나는 술기운을 빌어 그에게 흉터가 생긴 사연을 묻게 된다. 영국인은 이야기를 미화하지 않는 조건 하에 흉터에 대해 털어놓는다.
사실 아일랜드인이었던 그 ‘영국인’은 아일랜드 독립 전쟁 당시 공화주의자이자 반란군이었다. 어느 날 그들 반란군 무리에 스무 살 남짓의 청년 ‘존 빈센트 문’이 동지로 들어오게 되고, 공산주의자이자 변증법적 유물론 사상을 가지고 있던 그 열정적인 청년은 일방적인 논쟁과 토론을 통해 공화주의사상과 혁명의 성공에 대해 확신에 차 있었다. 하지만 막상 전쟁의 소용돌이에 휩싸이게 되자 그는 겁쟁이가 되었고, 혁명의 성공 가능성에 대해 비관하며 끝내 동지였던 ‘영국인’을 적에게 밀고하고 만다. 배신당한 ‘영국인’은 청년의 얼굴에 칼로 흉터를 남겼고, 결국 적에게 체포되어 공개 처형당한다. 청년은 배신의 대가로 적으로부터 돈을 받아 우루과이로 도망쳐온 것이다.
그러니까 이 이야기를 보르헤스에게 하고 있는 사람은 사실 아일랜드 반란군이었던 그 ‘영국인’이 아니라, 바로 밀고자 청년 ‘존 빈센트 문’이었던 것이다. 

 


 

2.     형식
 
- 액자식 구조 : 1인칭인 ‘나(보르헤스)’의 관점으로 이야기가 시작되지만, 중심 이야기는 또 다른 등장인물인 ‘영국인’의 회상의 관점으로 전개된다. (이야기 속의 이야기)
- 현실과 허구를 오가는 환상적 리얼리즘 기법 : 역사적으로 실존했던 아일랜드 독립전쟁을 배경으로 했고, 아일랜드의 지역명을 비롯해 아르헨티나의 실존하는 지역명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주인공인 ‘나’ 역시 ‘보르헤스’라는 실제 이름으로 등장하고 있다. 

 


 

 

3.     분석 포인트Ⅰ- ‘이상주의자’들 
 
▶ 밀고 당한 ‘반란군’ : 공화주의자 = 낭만주의자 --> 이상주의자

“우리들은 공화주의자들이었고, 카톨릭교도들이었지요. 

확실치는 않지만 우리들은 낭만주의자들이었다고 할 수 있지요.”


: 이상적인 국가 체재인 공화주의를 꿈꾸고, 그것의 실현을 믿으며 
그것을 행동으로 옮기기 위해 반란군으로 활동하고 있다. 

▶ 스무살 청년 ‘존 빈센트 문’ : 

변증법적 유물론자 = 경제 투쟁의 역사(공산주의) --> 이상주의자

“그는 단지 자신만이 그 제목을 알 어떤 공산주의 교본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독파를 했었습니다.”


“그는 어떤 토론이 벌어지든 간에 변증법적 유물론을 가지고 
그것을 해결하려고 했습니다.”


“문은 세계의 역사를 야비한 경제 투쟁의 역사로 간략화 시키곤 했지요.”


: 자신이 가진 지도에 맞춰 세상을 바꾸려는 자.


 ※ 모든 이상주의자들은 실패했다. (칼 마르크스, 공산주의) 그러나 후대에 흔적을 남겼다. 

 


 

4.     분석 포인트Ⅱ – ‘범아일여’ 사상 
 
▶ 범아일여(梵我一如) : 우주와 내가 하나다.
(고대 인도 철학 ‘우파니샤드’의 중심철학이자 ‘쇼펜하우어’의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한 사람이 어떤 일을 했다면 그것은 마치 모든 사람들이 했던 거나 다름이 없는 거지요. 그래서 에덴 동산에서 저질러진 한 차례의 불복종이 인류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은 전혀 부당한 일이 아닌 거지요. 그래서 단 한 사람의 유태인이 십자가에 매달리는 것으로 전인류가 구원받는다는 것 또한 전혀 부당한 일이 아니지요.
그렇게 보면 쇼펜하우어의 말이 일리가 있는거지요. 나는 다른 사람들이고, 그 어떤 사람도 모든 인간이고, 셰익스피어는 일종의 가련한 존 빈센트 문이다라는.


: 한 사람의 투쟁 혹은 희생은 또 다른 이에게 흔적을 남긴다. 
: 화자와 청자, 주인공이 혼재된 상태.

 

 

 

※ 이 글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것으로, 전문적인 문학분석 또는 읽는 이의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